WN_인생기록

언리얼의 기본 타입 본문

언리얼 개발/탐구(이론)

언리얼의 기본 타입

WhNi 2024. 4. 11. 00:20

데이터 타입의 모호함은 게임 개발할때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기본 타입을 제대로 구분하고 사용하는게 중요함. 

  • 단일 컴퓨터에서 최대 퍼포먼스를 뽑아내야하고
  •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이 효율적이고 안정적이어야 하는데, 데이터 정보가 불확실하면 성능 저하나 에러를 발생시킴

그래서 언리얼은 int 안쓰고 int 64 혹은 32 사용함

bool 사용하는 대신에 uint8 에 Bit Field 오퍼레이터를 쓰면 좀 더 데이터 양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극한으로 데이터를 줄이려고 할때 쓰면 될듯 하다. 

UPROPERTY()
uint8 bNetTemporary:1;

uint8 bNetStartup:1;

false는 0으로 하고 true는 1로 하면 된다. 

 

언리얼 엔진은 TCHAR 정렬 형태로 UTF-16을 기본으로 하고 있음

한글을 꼭 쓰고 싶으면 UTF-8로 저장해서 인코딩 하면 됨

 

** Git에 업로드할 때 한글이 깨지는 현상이 있는데 이 또한 UTF-8이 아니라서 발생하는 현상임.

보기에서 볼때 깨져서 보인다
저장할때 UTF-8로 저장하면 한글이 보여진다.

'언리얼 개발 > 탐구(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UE_5] GAS란 무엇인가  (0) 2024.04.24
[UE_5] Slate가 뭘까  (0) 2024.04.22
[UE_5] GetOuter()  (0) 2024.04.20
[UE_5] 캐시란?  (0) 2024.04.20
[UE_5] FObjectInitializer란?  (0) 2024.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