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이론

네트워크 기초

WhNi 2024. 3. 29. 23:46

노드링크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

 

여기서 노드는 서버, 라우터, 스위치 같은 네트워크 장비를 의미한다. 

 

링크는 유선, 무선 같은 연결망을 의미한다. 

 

네트워크를 구축할때는 트래픽을 항상 고려해야 하는데, 링크에는 대역폭이 존재한다. 이 대역폭이 넓을 수록 많은 트래픽을 감당할 수 있고 bps 라는 단위를 가지고 있다. 대역폭의 정의는 주어진 시간 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흐를 수 있는 최대 비트 수를 의미한다. 

 

지연시간(latency)이란 요청이 처리 되는 시간을 의미하는데, 어떤 메세지가 두 장치 사이를 왕복하는데 걸린 시간을 뜻한다. 

 

만약 컴퓨터에서 라우터 까지 800ms 가 걸리고, 다시 라우터에서 컴퓨터까지 700ms이 걸린다면

 

지연시간은 800+700 을 해서 1.5s가 걸리는 셈이다. 

 

 

 

네트워크 토폴로지 

 노드와 링크의 연결 형태를 의미함. (병목현상때문에 여러 형태의 연결 방식이 나타남)

: 대역폭을 크게 설정했어도 토폴로지가 구조적으로 많은 트래픽을 감당할 수 없다면, 성능은 개선되지 않음.

 

Tree 토폴로지- 계층형 토폴로지 라고 하면 트리 형태로 된 네트워크

 

Bus 토폴로지- 중앙 회선 하나에 여러개의 노드가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형태. 근거리 통신망(LAN)이 이 형태

 

Star 토폴로지- 중앙 허브 혹은 스위치에 여러개의 노드가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형태. 중앙노드의 의존성이 큰게 단점

 

Ring 토폴로지 - 각각의 노드가 양 옆의 노드와 연결되어 전체적인 고리처럼 연속된 통신을 구성하는 형태

 

Mesh 토폴로지 - 망형 토폴로지라고도 하며, 그물망처럼 서로 연결되어있는 구조 

 

네트워크 분류

 

LAN(Local Area Network) 

- 전송 속도 빠름, 건물, 캠퍼스 같은 가장 작은 단위.

MAN(Metropolitan Network)

-도시 단위의 네트워크

WAN(Wide Area Network)

- 광역 네트워크, 국가 또는 대륙 단위 네트워크

 

네트워크 성능 분석 

네트워크의 병목현상에는 주된 원인이 크게 4가지 정도로 분류되어 있음

- 네트워크 대역폭

- 네트워크 토폴로지

- 서버 CPU, 메모리 사용량

- 비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성

 

이 4가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성능 분석이 필요함 

 

Ping->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려는 대상 노드를 향해 패킷을 전송하는 명령어. 해당 시간을 통해 지연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netstat-> 접속되어 있는 서비스들의 네트워크 상태를 표시하는데 사용. 서비스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할때 주로 사용.

nslookup -> 특정 도메인에 매핑된  IP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DNS 관련된 내용 확인하기 위해 사용)

(DNS ->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경하는 것) 

tracert -> 목적지 노드까지 네트워크 경로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